본문 바로가기
선동-기타 투자/비트코인

09. 백신여권 관련 코인 정리

by 선동가 2021. 3. 29.

저번 시간에는 DID(탈중앙화 신원증명) 기술에 관하여

간략하게 알아봤다. 

(관련 기술은 이미 알아봤기 때문에 생략한다)

 

백신여권, 출처: 연합뉴스TV

백신여권이 서서히 현실로 다가오기 때문에

관련 코인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려 한다.

 

현재 백신여권 관련 코인으로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코인은

메디블록(MED, 시총: 2679억원)이다.

 

메디블록, 출처: 매일경제

3.18일 메디블록은 분산 신원증명(DID) 기반 백신패스 서비스는 4월 출시한다고 밝혔다.

원래 메디블록의 메디패스는 진료 기록을 관리하고 의료기관이나 보험사에 

기록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며,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

진료 기록의 진위여부도 증명한다. 

즉 백신패스로 질병관리청 및 의료기관에 등록된 접종 이력을 모바일로 관리할 수 있다. 

 

다만, 3.18일 떡상 후 계속적으로 100원대에 머물고 있다. 

백신여권 관련하여 한번 시세를 탄 적이 있으니

백신여권이 다시 이슈화 된다면

또 떡상할지 모르니 지켜보면 좋을 것 같다. 

 

그다음 코인으로 

메타디움(META, 시총 3175억원)이 있다. 

코인플러그의 암호화폐인 메타디움은 SK텔레콤과 제휴를 맺는 등

활발히 활동하고 있다. 

B-PASS를 통해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유특구 사업을 진행하는 등

실체가 있는 코인이다. 

 

 

그다음으로는

람다(LAMB, 시총: 1613억원)이 있다.

람다는 야놀자와 관련 있는 코인(비대면 체크인 시스템과 관련, 야놀자 상장 시 떡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)으로 

SK C&C와는 지난 1월 기업용 블록체인 모델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 등 

이번 코로나19 진단 결과 출입 확인 시스템을 위해 SK C&C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였다. 

 

또 다른 코인으로는 

휴먼스케이프(HUM, 시총: 668억원)도 있다. 

 

 

사실 지난주 이슈 되고 

현재는 잠잠한 DID 관련 코인이다.

그래도 지금 들어가서 기다리면 

시세 한 번은 주고 또 

주도 섹터가 될 수 있으니 

충분히 공부하고 들어가도 괜찮을 것 같다.

 

항상 FOMO를 조심하자.

특히나 코인 시장에서는

아주아주 조심하자.

나에게 하는 말이다.

댓글